티켓 가격 인하 논란, 최민식의 발언에 카이스트 교수가 반박한 진짜 이유는?

2024. 8. 23. 11:20우리들의 소식

반응형
\
반응형

"티켓 가격 인하 논란, 최민식의 발언에 카이스트 교수가 반박한 진짜 이유는?

"영화 산업의 현실을 모르는 이상주의자?" 이병태 교수, 최민식 발언의 비논리성을 지적하며 기업의 현실을 설명하다


## 1. 논란의 시작, 최민식의 티켓 가격 인하 주장


배우 최민식이 최근 MBC '손석희의 질문들'에 출연해 영화 티켓 가격 인하 필요성을 주장하면서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 그는 인터뷰에서 극장 가격이 너무 많이 올랐다. 좀 내려라, 나라도 안 간다라는 발언을 했습니다. 이 발언은 곧바로 화제를 모으며 많은 이들의 공감을 받았지만, 영화 산업 전문가들의 시선은 다소 달랐습니다. 특히 이병태 카이스트 교수는 최민식의 발언을 두고 "무지하다"며 비판을 가했습니다.

이병태 교수는 자신의 SNS를 통해 최민식의 발언에 대해 날카로운 반박을 펼치며 논란을 이어갔습니다. 그는 단순히 티켓 가격 인하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주장이 영화 산업의 현실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 교수의 이러한 발언은 그저 한 배우에 대한 비판을 넘어서, 대중이 잘 모르는 영화 산업의 복잡한 경제적 구조를 폭로하려는 것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이병태 교수는 왜 이토록 강하게 반응한 걸까요?


## 2. 이병태 교수의 반박: 영화 산업의 진짜 현실은?


이병태 교수는 최민식의 발언이 대중들에게 인상 깊게 남았지만, 그 이면에는 영화 산업의 복잡한 현실이 숨겨져 있다고 설명합니다. 그는 "한국 영화가 이처럼 커지고 배우들이 지금처럼 대접받는 시절이 온 것은 대기업들이 극장 사업을 벌여온 덕분"이라고 말합니다. 즉, 영화 산업이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기업들의 막대한 투자와 위험 부담이 있었으며, 티켓 가격 인상도 그저 자의적인 결정이 아닌 여러 경제적 요인들이 반영된 결과라는 것입니다.

특히 그는 "영화관 사업을 자선 사업으로 알고 있느냐"며, 최민식이 자신의 주장을 펼치기 전에 극장 사업의 재무 상태나 수익성에 대해 더 깊이 알아봤어야 했다고 지적합니다. 영화관은 단순히 영화를 상영하는 장소가 아니라, 기업이 운영하는 상업적 공간입니다. 기업은 수익을 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비용 구조와 경제적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이 교수의 주장입니다.

또한 이 교수는 최근 몇 년간 영화 산업이 팬데믹,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의 부상, 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해 큰 타격을 입었다고 말하며, 이러한 경제적 어려움을 간과한 채 티켓 가격만 비판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극장의 수익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않고, 티켓 가격을 인하하라는 주장은 기업의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킬 뿐이라고 경고합니다.


## 3. 강남 좌파의 전형적인 논리? 이병태 교수의 비판


이병태 교수는 최민식의 발언을 "강남 좌파의 전형적인 사고 방식"이라고 평가하며, 그 이유를 설명합니다. 강남 좌파란 대개 부유한 환경에서 자란 사람들이 진보적 사회적 가치를 표방하면서도, 실제로는 그들이 주장하는 것과는 동떨어진 행동을 하는 경우를 말하는데, 이 교수는 최민식의 발언을 그런 맥락에서 비판했습니다.

그는 최민식이 단순히 영화 티켓 가격을 인하하라고 주장하는 것은 남의 돈으로 인심 쓰는 발언에 불과하다고 꼬집었습니다. 즉, 극장 가격을 내리라는 것은 그 기업의 주주들이 손해를 감수하라는 것인데, 정작 그 부담은 자신이 지지 않으면서도 대중의 환호를 받고 싶어하는 위선적인 발언이라는 것이죠.

이 교수는 이런 발언들이 대중에게는 매력적으로 들릴 수 있지만, 실제로는 기업과 산업의 현실을 전혀 이해하지 못한 채 나온 주장이라고 지적합니다. 그는 이런 발언들이 반기업적인 정서를 조장하고, 대중의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결국 이러한 발언들은 경제적 현실과는 동떨어진 이상주의적 접근일 뿐이라는 것이 그의 입장입니다.


## 4. 영화 산업의 도전과 변화: OTT와 팬데믹의 영향


이병태 교수의 발언에서 중요한 부분은 영화 산업이 현재 직면한 도전과 변화입니다. 최근 몇 년간 영화 산업은 팬데믹으로 인해 극장 관객 수가 급격히 줄어들었고, 이에 따라 수익성도 크게 악화되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넷플릭스, 디즈니 플러스와 같은 OTT 서비스의 부상으로 관객들이 극장 대신 집에서 영화를 보는 경향이 강해졌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극장 산업에 큰 타격을 주었고, 많은 기업들이 이를 극복하기 위해 티켓 가격을 인상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인플레이션, 최저임금 인상 등 다양한 경제적 압박도 극장 운영에 부담을 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복잡한 경제적 상황 속에서 티켓 가격을 내리라는 주장은 단순한 문제로 끝나지 않는다는 것이 이 교수의 설명입니다.

또한 OTT의 부상은 배우들과 제작자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더 이상 영화만이 콘텐츠 소비의 중심이 아니며, 배우들 역시 OTT 콘텐츠를 통해 더 많은 기회를 얻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만큼 영화관 사업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으며, 이는 단순히 티켓 가격으로 해결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라는 것이 이 교수의 시각입니다.


## 5. 티켓 가격 인하, 정말 해법일까?


최민식의 주장처럼 영화 티켓 가격을 인하하는 것이 대중에게는 매력적으로 들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병태 교수의 지적처럼 이는 영화 산업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해법이 되지 못할 수 있습니다. 가격을 내리는 것은 단기적으로는 관객을 유인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극장 운영에 더 큰 부담을 주고, 결국에는 더 많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 이 교수의 우려입니다.

그렇다면 해법은 무엇일까요? 이 교수는 영화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경제적 현실을 고려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단순히 티켓 가격을 낮추는 것이 아니라, 영화관들이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찾고, OTT와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혁신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대중도 기업의 입장에서 그들이 직면한 현실을 이해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

이처럼 최민식의 티켓 가격 인하 발언은 단순한 주장이 아니라 영화 산업의 복잡한 구조와 경제적 도전 과제를 둘러싼 논쟁으로 이어졌습니다. 이병태 교수는 대중에게 매력적으로 들릴 수 있는 주장이 실제로는 산업의 현실과는 동떨어져 있음을 지적하며, 영화관 사업이 직면한 경제적 어려움을 더 깊이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반응형